삼성페이 vs 애플페이
삼성페이와 애플페이는 각각 삼성과 애플의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입니다. 이 두 서비스는 어떤 장단점이 있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5개의 키워드로 살펴보겠습니다.
1. 결제 방식
삼성페이와 애플페이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면 애플페이는 근거리무선통신 (NFC) 만 지원하는 것 이고, 삼성페이는 NFC 뿐만 아니라 마그네틱보안전송 (MST) 도 지원을 한다는 것 입니다. NFC 방식은 결제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아 결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MST 방식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자기장 발생 장치가 카드 리더기에 신호를 전달하여 카드를 넣은 것처럼 결제가 되는 방식입니다.
NFC 방식의 장점은 결제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것입니다. NFC 단말기가 설치된 곳이라면 어디서든 쉽게 결제할 수 있습니다. NFC 방식의 단점은 NFC 단말기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많은 매장에서 NFC 단말기를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MST 방식의 장점은 기존의 카드 리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거의 모든 매장에서 삼성페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ST 방식의 단점은 결제 시 스마트폰과 카드 리더기 사이의 거리나 각도에 따라 인식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MST 신호가 다른 카드 리더기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2. 편의성
삼성페이와 애플페이 모두 지문 인증, 홍채 인증, PIN 번호 등으로 결제를 인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연결 여부나 기기 종류에 따라 편의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삼성페이는 국내에서 독자 규격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데이터 통신이 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애플페이의 경우는 등록할 때를 제외하고 카드번호나 CVC 번호가 저장되지 않고 임시 토큰을 생성하여 그 정보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이 필요가 없습니다. 즉 셀룰러가 안되어도 애플페이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삼성페이는 삼성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반면 애플페이는 아이패드나 맥북, 애플워치 등 다양한 애플 기기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보안성
보안성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삼성페이와 애플페이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삼성페이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모두 지원합니다. MST 방식은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에 호환되어 결제할 수 있는 기술로, 스마트폰에서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켜 카드 정보를 전송합니다. NFC 방식은 스마트폰과 결제 단말기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카드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로, EMV 컨택리스(비접촉) 결제 방식과 호환됩니다.
애플페이는 NFC 방식만 지원합니다. 애플은 NFC 방식이 MST 방식보다 더 안전하고 미래 지향적인 기술이라고 주장하며, 전 세계에서 NFC 단말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두 서비스 모두 토큰화(Tokenization) 기술을 사용하여 실제 카드 번호 대신 임의로 생성된 가상 번호를 사용하며, 결제 시 지문 인식이나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합니다. 또한 분실 시 원격으로 계정 잠금이나 데이터 삭제가 가능합니다.
4. 교통카드 기능
삼성페이는 NFC 기반의 교통카드를 등록하면 스마트폰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탈 수 있습니다. 또한 항공권, 고속버스 탑승권, 학생증 등도 삼성페이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삼성은 이런 교통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2023년 3월 27일부터 비자카드 결제가 가능하게 하고, 중국 일부 지역 외에도 다른 나라의 교통카드를 지원할 계획입니다.
반면 애플 페이는 현재 한국에서는 교통카드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현대카드만 등록할 수 있고, NFC가 아닌 QR 코드 방식으로 결제합니다. 그래서 NFC 단말기가 있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항공권이나 버스 탑승권 등을 애플 페이로 보여줄 수 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애플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카드사와 협력하고, EMV contactless 방식으로 결제할 수 있게 개선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