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ython에서 문자열을 조작하는 방법으로, 슬라이싱, 연결 및 포맷팅을 설명하겠습니다.
- 슬라이싱: 슬라이싱은 문자열의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콜론으로 구분된 시작 및 끝 인덱스를 지정하여 수행합니다. 슬라이스는 시작 인덱스부터 끝 인덱스까지의 모든 문자를 포함하지만 끝 인덱스 자체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my_string = "안녕하세요, 세상!"
print(my_string[0:3])
출력: "안녕하"
- 연결: 연결은 두 개 이상의 문자열을 결합하는 과정입니다. Python에서 "+" 연산자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ring1 = "안녕"
string2 = "하세요"
new_string = string1 + " " + string2
print(new_string)
출력: "안녕 하세요"
- 포맷팅: 문자열 포맷팅은 플레이스홀더(자리 표시자)를 포함하여 새 문자열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Python에서 문자열을 포맷팅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 연산자와 "format"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각각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산자를 사용한 포맷팅
name = "홍길동"
age = 25
print("내 이름은 %s이고, %d살입니다." % (name, age))
출력: "내 이름은 홍길동이고, 25살입니다."
format 메소드를 사용한 포맷팅
name = "김철수"
age = 30
print("내 이름은 {}이고, {}살입니다.".format(name, age))
출력: "내 이름은 김철수이고, 30살입니다."
요약하자면, 슬라이싱, 연결 및 포맷팅은 Python에서 문자열을 조작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숙달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1주 4일차 (0) | 2023.02.23 |
---|---|
파이썬 1주 3일차 (0) | 2023.02.22 |
파이썬 1주 1일차 (0) | 2023.02.20 |
파이썬 3주 끝내기 일정 (0) | 2023.02.19 |
Python QT 예제 (0) | 2023.02.18 |
댓글